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
단행본
1. 전기, 평전
2009년
-
- 구중서, 『사랑하고 또 사랑하고 용서하세요』, 책만드는집, 2009.
2010년
-
- 장혜민(알퐁소), 『김수환 추기경 평전』, 산호와진주, 2010.
2011년
-
- 김원석, 『무엇이 될까보다 어떻게 살까를 꿈꿔라』, 명진출판사, 2011.
2012년
-
- 차동엽, 『김수환 추기경의 친전』, 위즈앤비즈, 2012.
2016년
-
- 이충렬 지음, 『아, 김수환 추기경 1 : 신을 향하여』, 김영사, 2016.
- 이충렬 지음, 『아, 김수환 추기경 2 : 인간을 향하여』, 김영사, 2016.
2019년
-
- 구중서, 『김수환 추기경 - 행복한 고난』, 사람이야기, 2019. (* 선종 10주기 평전)
2. 기타 단행본
1984년
- 문일석 지음, 『길을 찾아야죠-한국 종교계의 거장 11인과의 만남』, 신라원, 1995.
1987년
- 유가형, 『로마에서 명동까지 : 김수환 추기경』, 규장각, 1987년.
1995년
- 문일석 지음, 『당신의 도구로 써 주소서』, 신라원, 1995.
2009년
- 고수유, 『감사합니다 서로 사랑하십시오』, 마인드북스, 2009.
2012년
- 강영옥, 김경이, 박일영, 오지섭, 유정원, 『김수환추기경 시민아카데미 매뉴얼 및 교재개발 연구 : 사랑하고 또 사랑하고 용서하세요!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2.
- 박일영, 오지섭, 강영옥 김경이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 : PEACE-LTB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2.
2014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 연구 1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강영옥, 김경이, 박일영, 최준규, 『청소년 인성교육 매뉴얼 및 교재개발 연구 : 사람답게 사는 삶』, 감사랑, 2014.
- 박일영, 오지섭, 강영옥 김경이, 『장래세대 인성교육 연구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2015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 연구 2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5.
- 강영옥, 김경이, 박일영, 오지섭, 유정원, 『사람·삶·사랑』, 감사랑, 2015.
- 강영옥, 김경이, 박일영, 오지섭, 이규웅, 『용기를 가지고 자기 길을 걸어가라』, 감사랑 2015.
2016년
- 강영옥, 김경이, 박일영, 오지섭, 『인성교육 핵심키워드 - 교사들을 위한 길잡이』, 감사랑,
2016. (* 김수환추기경연구소 교사용 인성교육 교재) 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 연구 3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6.
- 강영옥, 김경이, 박일영, 오지섭, 『인성교육 핵심키워드 - 교사들을 위한 길잡이』, 감사랑,
2017년
- 강영옥, 김경이, 김영수, 박일영, 오지섭, 『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길잡이』, 감사랑,
2017. (* 김수환추기경연구소 인성교육 교재)
- 강영옥, 김경이, 김영수, 박일영, 오지섭, 『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길잡이』, 감사랑,
2018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 연구 4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8.
2019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 연구 5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9.
2020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A HOLY FOOL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0.
2021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 연구 6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에게 정의와 평화의 길을 묻다.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2022년
- 박승찬, 김남희, 오지섭, 조윤아, 『Ask Cardinal Stephen Kim Soo-hwan A Path to JUSTICE and PEACE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2.
2023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김수환 추기경에게 사랑과 나눔의 삶을 묻다.』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3.
2024년
-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『Inquiring Cardinal Kim Soo-hwan about a Life of Love and Sharing』, 성바오로출판사, 2024.
논문, 잡지
1. 논문 - 연도별
2009년
- 손봉호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국 개신교」, 『목회와신학』
통권 238호(2009년 4월호), pp.144-149., 두란노, 2009. - 안점식, 「김수환 추기경의 죽음은 한국 개신교에 어떤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는가」, 『목회와신학』 통권 238호(2009년 4월호), pp.150-157., 두란노, 2009.
- 박 일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제 영성」, 『사목연구』 제24집(2009년 겨울), pp.9-40.,
가톨릭대학교 사목연구소, 2009. - 유경촌, 「김수환 추기경의 가톨릭 사회교리」, 『사목연구』 제24집(2009년 겨울),pp.46-84., 가톨릭대학교 사목연구소, 2009.
- 손봉호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국 개신교」, 『목회와신학』
2011년
- 이장우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국의 민주주의」, 『교회사연구』 제36집(2011년), pp.89-116., 한국교회사연구소, 2011.
- 조정환, 「그리스도교 인간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김수환 추기경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 - 인간 존엄성을 중심으로」, 『가톨릭신학』 제19호(2011년 겨울), pp.59-95., 한국가톨릭신학학회, 2011.
2012년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」,
『가톨릭신학』 제20호(2012년 여름), pp.67-100., 한국가톨릭신학학회, 2012. - 강영옥, 「김수환 추기경의 가정관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3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pp.13-34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2.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」,
2013년
- 이주현, 남예지, 심지은, 박혜윤, 이재운, 『가톨릭대학교 대학생의 종교인식 분석과 종교간 대화의 방향 모색 - 김수환 추기경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』, 가톨릭대학교(학술논문), 2013.
2014년
- 박일영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회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27-4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김형석, 「현대사회와 김수환 추기경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49-5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최준규, 「김수환 추기경의 인간이해 관점에서 본 교사의 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 pp.87-11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강영옥, 「김수환 추기경의 생명문화관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122-150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유정원, 「김수환 추기경의 생태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157-183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유정원, 「김수환 추기경이 바라본 가난과 경제정의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pp.189-221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김병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회적 영성은 중국 사회와 종교에 대안이 될 수 있는가」,
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226-25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 - 마백락, 「김수환 추기경의 선조, 생가와 유년 시절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11-18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김정숙, 「성 유스티노 신학교와 김수환 추기경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19-26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이경규, 「김수환 추기경과 대구교구사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27-31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오지섭, 「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영성 – 현대 평화 이론과 대비하여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43-47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 사상연구소, 2014.
- 김정용, 「김수환 추기경과 (새)복음화 – 세상 속 복음의 증인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49-51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주원준, 「김수환 추기경의 옹기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5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73-8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강영옥, 「김수환 추기경의 교육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5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89-10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2015년
- 노연희·이상균, 「김수환 추기경의 영성으로 본 사회복지 실천 – 바보의 나눔재단 운영 평가 및 발전방안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2』, pp.153-189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5.
- 김경이, 「청소년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김수환 추기경의 교육영성 탐색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2』, pp.194-22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5.
- 오지섭, 「김수환 추기경의 영성과 시민교육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2』, pp.232-252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5.
2016년
- 임하성, 『김수환 추기경의 인간존엄성 구현 활동에 대한 연구』, 가톨릭대학교(대학원석사 논문), 2016.
- 김우선, 「“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” - 김수환 추기경과 교회, 그리고 한국사회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3』, pp.74-103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6.
- 민경일, 「가톨릭 교회의 나눔 – 교종 프란치스코와 김수환 추기경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3』,
pp.134-17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6. - 강영옥, 「김수환 추기경의 교육철학에 관한 연구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3』, pp.234-260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6.
2017년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대한 고찰」, 『가톨릭신학』, 제31호(2017년 겨울), pp.59-94., 한국가톨릭신학학회, 2017
2018년
- 박승찬, 「김수환 추기경 평화 사상의 인문학적 배경 : 아우구스티누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」, 『가톨릭철학』 제31호, pp.187-226., 한국가톨릭철학회, 2018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인간 이해에 나타난 그리스도 중심적인 성격에 대한 연구 : 그리스도 강생 사건을 중심으로 논단」, 『인간연구』 제35호(2018년 겨울), pp.39-67.,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, 2018.
- 박일영, 「김수환, 안중근, 최정숙의 사회영성이 오늘에 주는 의미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4』, pp.69-100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8.
- 오지섭, 「인문학을 토대로 하는 인성교육의 의의와 방향 모색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4』, pp.213-23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8.
- 박일영, 「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사상」, 서보혁, 이찬수 편, 『한국인의 평화사상 II』,pp.123-148., 2018.
2019년
- 김남희, 「바보 김수환 추기경을 회상하며 바보 가톨릭 시민을 생각하다」, 『가톨릭평론』
제19호(2019년 1-2월), pp.36-44., 우리신학연구소, 2019. - 손희송, 「김수환 추기경의 나눔 정신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5』, pp.16-23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9.
- 염수정, 「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며」, 『평화나눔연구소 창립4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』, pp.9-13.,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평화나눔연구소, 2019.
- 경동현, 「성숙한 신앙, 시민성 함양을 위한 가톨릭 시민교육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9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91-109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9.
- 김남희, 「바보 김수환 추기경을 회상하며 바보 가톨릭 시민을 생각하다」, 『가톨릭평론』
2020년
- 신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삶과 말씀을 통해 본 평화」, 『인간과 평화』 제1권(2020. 09) pp.13-35., 평화나눔연구소, 2020.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남북 관계 : 평화와 화합, 일치를 중심으로」, 『인간과 평화』 제1권(2020. 09), pp.37-58., 평화나눔연구소, 2020.
- 김환영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가톨릭의 역할」, 『인간과 평화』 제1권 (2020. 09), pp.59-80., 평화나눔연구소, 2020.
- 박준양, 「바티칸 공의회의 정신, 그리고 아시아주교회의 연합회(FABC)의 탄생과 발전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0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7-41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0.
- 박승찬, 「김수환 추기경의 ‘세상을 위한 교회’ -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관의 한국적 수용」, 『인간연구』 제42호, pp.7-55.,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, 2020.
2021년
- 박병관, 「김수환 추기경의 그리스도교 영성 : 맥락과 해석」, 『신학전망』 제212호(2021. 03),
pp.241-292.,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, 2021. - 김남희, 「김수환 추기경과 가톨릭시민 – 카리스마의 집중과 확산을 중심으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6』, pp.17-54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노성숙, 「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 – 아도르노, 김수환 추기경,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중심으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6』, pp.55-99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김경이, 「김수환추기경연구소 시민교육 사업에 대한 성찰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6』, pp.100-142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심현주, 「김수환 추기경의 나눔 정신을 잇는 단체들의 실태 조사 –가톨릭 사회복지와 사회적 ‘공공성’ 운동의 연대를 향하여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6』, pp.143-17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유경촌, 「가난한 이들을 위한 나눔의 30년 : 또 하나의 이정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1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11-2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박병관, 「김수환 추기경의 그리스도교 영성 : 맥락과 해석」, 『신학전망』 제212호(2021. 03),
2022년
- 김남희, 「김수환 추기경의 인간관과 생명사상」, 『종교교육학연구』 제68권(2022년 2월), pp.95-117., 한국종교교육학회, 2022.
- 황경훈, 「김수환 추기경과 FABC」, 『가톨릭평론』 제35호(2022년 3월), pp.83-94., 우리신학연구소, 2022.
- 김정숙, 「김수환 추기경의 성소 못자리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2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11-46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2.
- 이충렬, 「1951년 사제 서품부터 1969년 추기경 서임까지의 신앙여정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2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49-5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2.
- 한승훈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회영성과 한국사회의 변화(1969~1988)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2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61-9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2.
2023년
- 하민경, 「중독의 범죄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 – 김수환 추기경 정신의 관점에서 본 고통과 희망을 중심으로」, 『인간연구』 제51호, pp.111-138.,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, 2023.
- 장이태, 「오늘날의 새로운 폭력에 저항하는 희망의 열쇠 : 김수환 추기경의 정신을 바탕으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3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9-2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3.
- 최진일, 「김수환 추기경의 관점에서 바라본 가톨릭 의료윤리 : 의료활동의 기본 원칙을 중심으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3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51-6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3.
2025년
- 조한건, 「김수환 추기경 관련 사료 연구」, 『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추진 제1차 심포지엄 자료집』
pp.9-25., 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·한국교회사연구소, 2025. - 김수태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목 환경」, 『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추진 제1차 심포지엄 자료집』 pp.27-65., 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·한국교회사연구소, 2025.
- 홍주영, 「김수환 추기경과 세계교회 그리고 보편교회: 김수환 추기경의 해외에서의 명성」,
『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추진 제1차 심포지엄 자료집』 pp.67-89.,
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·한국교회사연구소, 2025. - 박일영, 「‘하느님의 종’ 김수환 추기경의 성덕의 명성-생애와 죽음과 죽음 이후」,
『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추진 제1차 심포지엄 자료집』 pp.91-125.,
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·한국교회사연구소, 2025. - 조한규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삶과 사상에 대한 신학적 고찰-대신덕과 대인덕을 중심으로」,
『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추진 제2차 심포지엄 자료집』 pp.45-69.,
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·한국교회사연구소, 2025. - 고준석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목 전망-사목 교서를 중심으로」, 『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추진 제2차 심포지엄 자료집』 pp.71-101., 서울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·한국교회사연구소 2025.
- 조한건, 「김수환 추기경 관련 사료 연구」, 『하느님의 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추진 제1차 심포지엄 자료집』
2. 논문 - 주제별
김수환 추기경의 영성
- 박 일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제 영성」, 『사목연구』 제24집(2009년 겨울), pp.9-40., 가톨릭대학교 사목연구소, 2009.
- 강영옥, 「김수환 추기경의 교육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5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89-10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김병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회적 영성은 중국 사회와 종교에 대안이 될 수 있는가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226-25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박일영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회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27-4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오지섭, 「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영성 – 현대 평화 이론과 대비하여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43-47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유정원, 「김수환 추기경의 생태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157-183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주원준, 「김수환 추기경의 옹기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5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73-8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최준규, 「김수환 추기경의 인간이해 관점에서 본 교사의 영성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 pp.87-11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김경이, 「청소년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김수환 추기경의 교육영성 탐색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2』, pp.194-22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5.
- 노연희·이상균, 「김수환 추기경의 영성으로 본 사회복지 실천 –바보의 나눔재단 운영 평가 및 발전방안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2』, pp.153-189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5.
- 오지섭, 「김수환 추기경의 영성과 시민교육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2』, pp.232-252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5.
- 임하성, 『김수환 추기경의 인간존엄성 구현 활동에 대한 연구』,
가톨릭대학교(대학원석사 논문), 2016. - 박병관, 「김수환 추기경의 그리스도교 영성 : 맥락과 해석」, 『신학전망』
제212호 (2021. 03), pp.241-292.,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, 2021. - 한승훈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회영성과 한국사회의 변화(1969~1988)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2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61-9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2.
김수환 추기경의 사회사상 및 민주주의
- 손봉호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국 개신교」, 『목회와신학』
통권 238호(2009년 4월호),pp.144-149., 두란노, 2009. - 안점식, 「김수환 추기경의 죽음은 한국 개신교에 어떤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는가」, 『목회와신학』 통권 238호(2009년 4월호), pp.150-157., 두란노, 2009.
- 이장우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국의 민주주의」, 『교회사연구』 제36집(2011년),
pp.89-116.,한국교회사연구소, 2011. - 김정용, 「김수환 추기경과 (새)복음화 – 세상 속 복음의 증인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49-51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김형석, 「현대사회와 김수환 추기경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49-5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 2014.
- 유정원, 「김수환 추기경이 바라본 가난과 경제정의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
pp.189-221,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 - 김우선, 「“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” - 김수환 추기경과 교회, 그리고 한국사회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3』, pp.74-103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6.
- 민경일, 「가톨릭 교회의 나눔 – 교종 프란치스코와 김수환 추기경」,
『김수환추기경연구 3』, pp.134-17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6.
- 손봉호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국 개신교」, 『목회와신학』
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사상
- 박일영, 「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사상」, 서보혁, 이찬수 편, 『한국인의 평화사상 II』, pp.123-148., 2018.
- 박승찬, 「김수환 추기경 평화 사상의 인문학적 배경 : 아우구스티누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」, 『가톨릭철학』 제31호, pp.187-226., 한국가톨릭철학회, 2018
- 염수정, 「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며」, 『평화나눔연구소 창립4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』, pp.9-13.,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평화나눔연구소, 2019.
- 김환영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가톨릭의 역할」, 『인간과 평화』
제1권(2020. 09), pp.59-80., 평화나눔연구소, 2020. - 신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삶과 말씀을 통해 본 평화」, 『인간과 평화』 제1권(2020. 09) pp.13-35., 평화나눔연구소, 2020.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남북 관계 : 평화와 화합, 일치를 중심으로」, 『인간과 평화』 제1권(2020. 09), pp.37-58., 평화나눔연구소, 2020.
김수환 추기경의 교육 및 인성
- 이주현, 남예지, 심지은, 박혜윤, 이재운, 『가톨릭대학교 대학생의 종교인식 분석과 종교간 대화의 방향 모색 - 김수환 추기경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』, 가톨릭대학교(학술논문), 2013.
- 강영옥, 「김수환 추기경의 교육철학에 관한 연구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3』, pp.234-260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6.
- 오지섭, 「인문학을 토대로 하는 인성교육의 의의와 방향 모색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4』, pp.213-23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8.
- 경동현, 「성숙한 신앙, 시민성 함양을 위한 가톨릭 시민교육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9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91-109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9.
- 김경이, 「김수환추기경연구소 시민교육 사업에 대한 성찰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6』, pp.100-142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노성숙, 「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 – 아도르노, 김수환 추기경,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중심으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6』, pp.55-99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김수환 추기경의 인간관 및 철학
- 조정환, 「그리스도교 인간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김수환 추기경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
- 인간 존엄성을 중심으로」, 『가톨릭신학』 제19호(2011년 겨울), pp.59-95., 한국가톨릭신학학회, 2011. 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」, 『가톨릭신학』 제20호(2012년 여름), pp.67-100., 한국가톨릭신학학회, 2012.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대한 고찰」, 『가톨릭신학』, 제31호(2017년 겨울), pp.59-94., 한국가톨릭신학학회, 2017
- 조정환, 「김수환 추기경의 인간 이해에 나타난 그리스도 중심적인 성격에 대한 연구 : 그리스도 강생 사건을 중심으로 논단」, 『인간연구』 제35호(2018년 겨울), pp.39-67.,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, 2018.
- 김남희, 「김수환 추기경의 인간관과 생명사상」, 『종교교육학연구』 제68권(2022년 2월), pp.95-117., 한국종교교육학회, 2022.
- 하민경, 「중독의 범죄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 – 김수환 추기경 정신의 관점에서 본 고통과 희망을 중심으로」, 『인간연구』 제51호, pp.111-138.,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, 2023.
- 조정환, 「그리스도교 인간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김수환 추기경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
김수환 추기경의 생명 및 사회교리
- 유경촌, 「김수환 추기경의 가톨릭 사회교리」, 『사목연구』 제24집(2009년 겨울),
pp.46-84., ,가톨릭대학교 사목연구소, 2009. - 강영옥, 「김수환 추기경의 생명문화관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1』, pp.122-150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4.
- 박승찬, 「김수환 추기경의 ‘세상을 위한 교회’ -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관의 한국적 수용」, 『인간연구』 제42호, pp.7-55.,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, 2020.
- 손희송, 「김수환 추기경의 나눔 정신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5』, pp.16-23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19.
- 심현주, 「김수환 추기경의 나눔 정신을 잇는 단체들의 실태 조사–가톨릭 사회복지와 사회적 ‘공공성’ 운동의 연대를 향하여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 6』, pp.143-17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유경촌, 「가난한 이들을 위한 나눔의 30년 : 또 하나의 이정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1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11-25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1.
- 유경촌, 「김수환 추기경의 가톨릭 사회교리」, 『사목연구』 제24집(2009년 겨울),
김수환 추기경의 생애 및 유년 시절
- 마백락, 「김수환 추기경의 선조, 생가와 유년 시절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11-18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김정숙, 「성 유스티노 신학교와 김수환 추기경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19-26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이경규, 「김수환 추기경과 대구교구사」, 『대구 가톨릭대학교 개교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27-31.,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, 2014.
- 이충렬, 「1951년 사제 서품부터 1969년 추기경 서임까지의 신앙여정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2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49-5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2.
기타
- 김남희, 「바보 김수환 추기경을 회상하며 바보 가톨릭 시민을 생각하다」, 『가톨릭평론』
제19호(2019년 1-2월), pp.36-44., 우리신학연구소, 2019. - 박준양, 「바티칸 공의회의 정신, 그리고 아시아주교회의 연합회(FABC)의 탄생과 발전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0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7-41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0.
- 장이태, 「오늘날의 새로운 폭력에 저항하는 희망의 열쇠 : 김수환 추기경의 정신을 바탕으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3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9-28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3.
- 최진일, 「김수환 추기경의 관점에서 바라본 가톨릭 의료윤리 : 의료활동의 기본 원칙을 중심으로」, 『김수환추기경연구소 제13회 심포지엄 자료집』, pp.51-67., 김수환추기경연구소, 2023.
- 황경훈, 「김수환 추기경과 FABC」, 『가톨릭평론』 제35호(2022년 3월), pp.83-94., 우리신학연구소, 2022.
- 김남희, 「바보 김수환 추기경을 회상하며 바보 가톨릭 시민을 생각하다」, 『가톨릭평론』
잡지
1984년
- 오효진, 『김수환 추기경의 뿌리 3대』, 『정경문화(政經文化)』 1984년 1월호, 1984.
1985년
- 김진복, 「김수환 추기경 인터뷰 : 윤리 벗어난 정치에 교회가 말할 수 있어」, 『빛』
통권 25호(1985년 5월), pp.8-13., 천주교 대구대교구, 1985.
- 김진복, 「김수환 추기경 인터뷰 : 윤리 벗어난 정치에 교회가 말할 수 있어」, 『빛』
1996년
- 박광호, 「복음을 증거하는 삶을 보여 줍시다 : 김수환(스테파노) 추기경과의 만남」, 『레지오마리애』 제100호(1996년 11월), pp.38-46., 레지오마리애 편집실, 1996.
1999년
- 김산춘, 「김수환 추기경의 대화 : 새로운 세기를 열며」, 『들숨날숨』 1999년 5월호, pp.18-19.,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, 1999.
2009년
- 안경렬, 「김수환 추기경과 한국 가톨릭 사회복지 : 종교 사회복지의 새 지평을 열다」, 『가톨릭사회복지』 제31호(2009년 봄), pp.34-40.,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, 2009.
- 최석우, 「친애하는 김수환 추기경님」, 『교회와역사』 제406호(2009년 3월), p.41., 한국교회사연구소, 2009.
-
「주제가 있는 수필 - 내가 만난 김수환 추기경」
① 진홍색 수단 / 박영식
② 평범함의 은총 / 김동원
③ 그분의 참된 마음은 / 박형규
④ 김 추기경이 보낸 편지 / 구중서
『경향잡지』 제101권(2009년 4월), pp.36-43.,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, 2009. - 이병호 주교, 「신앙인의 백년지기 - 김수환 추기경을 그리며」, 『경향잡지』 제101권 (2009년 4월), pp.92-93.,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, 2009.
-
「경향 돋보기」
① 추기경 신드롬 어떻게 볼 것인가? / 박문수
② 김수환 추기경의 삶을 통해 돌아보는 선교의 의미 / 김혜경
③ 김 추기경과 한국 교회 / 오민환
『경향잡지』 제101권(2009년 4월), pp.104-124.,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, 2009. - 김정남, 「또 하나의 정부, 김수환 추기경」, 『공동선』 통권 86호(2009년 5-6월호), pp.76-92., 공동선천주교, 2009.
2010년
- 장 이브 올리비에, 구요비 신부(역), 「김수환 추기경께서는 어떻게 프라도회를 부르셨는가?」, 『프라도사제회』 제53호(2010년), pp.10-14., 프라도사제회, 2010.
2014년
-
특집 「오늘 더욱 그리운 사람 김수환 추기경」
① 양심의 소리로 시대의 등불이 되다 / 김정남
② ‘인간 김수환’을 만나다 / 허영엽
③ 감동의 삶을 추억하다 / 서의규
④ 모든 이의 모든 것이 되어 / 김용기, 『생활성서』 통권 366호(2014년 2월), pp.72-93., 생활성서사, 2014.
-
특집 「오늘 더욱 그리운 사람 김수환 추기경」
2016년
- 오창익, 「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현실적 인물, 김수환 추기경」, 『야곱의우물』 통권 266호(2016년 4월), pp.38-43., 바오로딸, 2016.
2020년
- 송란희, 「김수환 추기경 유물 소개 1」, 『평신도』 계간 68호(2020년 여름), pp.25~28., 바오로딸, 2020.
- 송란희, 「김수환 추기경 유물 소개 2」, 『평신도』 계간 69호(2020년 가을), pp.35~37., 바오로딸, 2020.
- 송란희, 「김수환 추기경 유물 소개 3」, 『평신도』 계간 70호(2020년 겨울), pp.37~40., 바오로딸, 2020.
2022년
- 이충렬, 「김수환 추기경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: 돌아보고 헤아리고」,
『교회와역사』 제564호(2022년 5월), pp.2-3., 한국교회사연구소, 2022.
- 이충렬, 「김수환 추기경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: 돌아보고 헤아리고」,